CULTURE > 공연

[공연] 덕수궁 석조전, 원형 그대로 복원된다

내부 벽체서 건립 당시 모습 드러나...아치형 개구부, 벽난로 위치 등 발견

내부 벽체서 건립 당시 모습 드러나...아치형 개구부, 벽난로 위치 등 발견

고종황제의 처소와 집무실로 건립된 덕수궁 석조전이 원형 그대로의 모습으로 복원될 전망이다.

문화재청(청장 이건무)은 덕수궁(사적 제124호) 내에 있는 석조전의 내부 원형 복원공사 중 건물 내부 벽체에서 건립 당시의 모습이 드러남에 따라 원래의 모습대로 복원할 계획이다.

문화재청은 2일 오전 서울 중구 덕수궁 석조전에서 브리핑을 갖고 "석조전 내부 벽체에서 실별 규모와 벽체 위치, 아치형 개구부(開口部) 위치와 형태, 벽난로와 연도(煙道)의 위치 등이 발견돼 고종황제가 사용했던 당시의 모습대로 복원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서양식 근대건축물인 석조전은 1900년에 착공해 1909에 완공, 1919년까지 대한제국의 정궁으로 사용됐으나 1933년부터 이왕가 미술관, 미소공동위원회 사무실, 국립중앙박물관, 궁중유물전시관 등으로 사용되면서 내부 모습이 크게 변형됐다.

이에 따라 문화재청이 관계전문가의 의견과 고증자료를 근거로 원형대로 복원하기 위해 지난해 10월 공사에 착수했으며 오는 2012년 10월 완공을 목표로 현재 3층 내부 철거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문화재청은 이날 공사중인 석조전 내부 현장을 공개하고, 원형 발견 흔적들을 통해 건립 당시의 모습에 대해 설명했다.

특히 고종 황제와 황후의 거실 및 침실, 욕실, 알현실이 있었던 3층의 경우 아치형 개구부 흔적 5개소, 벽난로 8개소, 욕실 2개소와 소회의실 및 귀빈식당의 규모, 알현실 중앙복도의 천장구조 등이 확인됐다.

또 6.25 전쟁당시 불에 탄 흔적과 욕실 천장 구조물에서는 'Korea'로 추정되는 글씨 'kor'와 규격을 표시한 것으로 추정되는 글씨가 남아있어 분석중이다.

문화재청은 석조전 내부 벽체에서 원형의 흔적들이 발견됨에 따라 당시의 사진을 비롯한 자료를 토대로 각 실별 내부 마감재, 인테리어, 중앙복도, 난간 등을 원래의 모습대로 복원할 계획이다.

이날 문화재청 관계자는 "마감재료와 디자인등이 매우 중요한데 사진자료가 많이 남아있어 상당히 도움이 되고 있다"며 "조명이나 난방 시설 등 디테일한 부분까지 신경쓰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석조전은 복원이 완료되면 대한제국의 역사를 알리고 교육하는 '대한제국 역사관'(가칭)으로 활용된다.


JTN 윤보라 기자 / 사진 유승관 기자
Copyrightⓒ2010 JTN all rights reserved.

《기사제보 press@jtn.co.kr

  • 작성자 : 윤보라 기자 press@jtn.co.kr
  • 기사입력 : 2010-02-02 15:42

추천 기사

대화
[공연] 빈필하모닉 신년음악회를 의정부에서?
[공연] 뮤지컬 '팬텀', 압도적 분위기..
스폰서 링크